성인간호학 실습 A+ 뇌졸중(뇌경색)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_간호과정 2개(자가간호결핍, 낙상위험성)

목차

1. 상기 진단에 대한 문헌고찰
2. 케이스 대상자 질병에 관한 고찰 및 비교*
3.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ADL)기능 사정
4. 간호과정 양식

본문내용

♦ 상기 진단에 대한 문헌고찰
① 원인
뇌졸중의 주원인은 혈전으로, 그 중에서 가장 많은 원인은 고혈압, 가족력, 당뇨병, 심질환, 고지
혈증 등이 있으며 비만, 좌식생활, 수면 무호흡증 등 또한 포함된다. 뇌졸중의 위험요인은 나이, 성, 인종, 유전과 같은 수정 불가능한 것과 질환들이나 생활습관 같은
수정 가능한 것이 있다. 2009년 NINDS에서는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을 심
장질환, 당뇨, 일과성 허혈증(TIA), 고혈압, 흡연으로 선정하였다. 만약 이중 2가지 이상의 위험
요인이 동시 존재 한다면 뇌졸중이 발병할 확률은 증가한다. 뇌졸중은 55세 이상이 되면 위험성이 2배 증가하고, 2/3가 65세 이상에서 발생하며 남성이 여성
보다 약간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뇌졸중은 노인들이 쉬거나 자고 있을 때 자주 발생되며 수면 중 혈압이 낮아지면 이미 좁아진
혈관에 관류하기가 어려워 허혈이 발생되는 것이다.

<중 략>

③ 렌즈핵줄무늬체동맥(lenticulostriate a.) 폐색: basal ganglia 혈류공급 (lacunar infarction) – 순수 운동마비(pure motor hemiparesis) : m/c – 순수 감각 뇌졸중(pure sensory stroke) – 감각운동 뇌졸중(sensorimotor stroke) – 조화운동불능 편마비(ataxic hemiparesis) – 구음장애-서툰손증후군(dysarthria-clumsy hand syndrome)
∴ 대상자의 증상과 비교
비록 대상자의 뇌 혈관 내에서 정확히 어떤 부분이 infarction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지 못하였으
나, 현재 Lt. hemiplegia를 주 증상으로 호소하고 있고 운동과 감각기능이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MCA superior disvision이 폐쇄된 것으로 사료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