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itle
2. Purpose
3. Theory
4. Apparatus
5. Procedures
6. Data & Result
7. Discussion
8. Reference
본문내용
1. Title: Precipitation Titrations
2. Purpose: – titration의 기본적인 원리를 알고, 그 중 precipitation titration에 대해 이해 1. 은 침전 적정법 중 indicator를 이용하는 방법인 Fajans method와 Mohr method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Chloride ion 농도를 알아낸다. 2. potentiometry로 Chloride ion 농도를 알아낸다.
3. Theory
1) 적정
미지의 용액과 회학양론적으로 반응하는 표준 용액의 부피를 측정해 미지 용액의 농도를 알아내는 방법을 부피 분석법이라고 한다. 부피 분석법의 개념을 활용한 분석 방법에는 적정이 있다. 적정은 이미 농도를 알고있는 표준 용액을 미지의 용액과 반응시켜 미지 용액 속 특정 화학종의 농도를 파악하는 분석 방법이기에 일종의 정량 분석이다. 적정은 반응의 종류에 따라서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산-염기 적정과 킬레이트 적정, 산화-환원 적정, 침전 적정이다. 산-염기 적정은 농도를 아는 산 혹은 염기 용액으로 농도를 모르는 염기 혹은 산 용액을 중화반응시켜 농도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킬레이트 적정은 주로 금속 이온이 정량의 대상이 되며, 금속 이온과 킬레이트 시약과의 반응으로 킬레이트 화합물을 생성해내 분석하는 적정법이다. 산화-환원 적정은 산-염기 적정과 마찬가지로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미지 용액의 농도를 알아내는 적정법이다. 산화제를 표준 용액으로 할 시엔 산화 적정이라하고, 환원제를 표준 용액으로 할 시엔 환원 적정이라 한다. 마지막으로 침전 적정은 본 실험에서 활용하는 적정법으로 침전 반응을 이용한다.
2) 침전 적정
정량 분석 해야하는 이온과 화학양론적으로 반응해 불용성 침전이 생기는 표준화된 물질을 적정제로 하여 적정해 분석해야하는 물질의 농도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