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정보조사지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문헌고찰
3. 사례
4. 수면장애 간호과정- 악몽과 관련된 수면 양상 장애
5. 불안 간호과정- 외상 후 스트레스와 관련된 불안
6. 낙상 간호과정- 보행의 어려움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본문내용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정의 : 극단적인 외상 사건에 노출되어 스트레스 반응을 경험할 때 나타나는 스트레스 장애
● 선행요인(외상 사건): 강간, 전쟁, 신체적 공격, 홍수, 전쟁, 화재, 고문 또는 재해나 재난 등 평소 겪을 수 있는 경험의 범위를 벗어나는 사건외상사건의 반복적인 회상(침습 증상) 및 악몽, 재경험에 대한 과민반응과 과다각성(부정적 기분)으로 해리 증상, 회피 증상이 나타난다.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적응 장애는 어린 시절부터 노년기까지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결혼하지 않은 젊은 사람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 PTSD 증상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주된 증상은 충격적인 사건의 재경험과 이와 관련된 상황 및 자극에서 회피하는 행동을 보이는 것이다. 증상은 사건 발생 1달 후 심지어는 1년 이상 경과된 후에 시작될 수도 있다.
환자는 해리 현상이나 공황발작을 경험할 수도 있고 환청 등의 지각 이상을 경험할 수도 있다. 연관 증상으로는 공격적 성향, 충동조절 장애, 우울증, 약물 남용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집중력 및 기억력 저하 등의 인지기능 문제가 나타날 수도 있다.
● PTSD 치료
▷ 지속적 노출치료
▷ 안구운동 탈감작 및 재처리법-> 좌우로 안구운동을 하며 외상사건과 함께 심리기법 적용
-> 사건에 대해 재조직, 재기억시키는 원리를 이용
-> 치료 후 더 이상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불안을 느끼지 않게 됨
▷ 집단 및 가족치료
▷ 정신약물 치료- 항우울제 SSRI, TCA, MAOI, Trazodone
– 항불안제 benzodiazepine계 약물(Alprazolam 등)
– 항경련제 Carbamazepine, Valproate- 기분안정제 Lithium
▷ 치료적 관계 형성- 적극적 경청, 자신에 표현 격려(외상사건 중)- 기본적 욕구 충족으로 건강과 안녕감 증진
– 자살위험성과 불안 사정 및 예방- 오락, 모임 참여-사회화 강화 및 고립감 감소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