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진적 의사소통을 위한 상담자의 태도'로 학습한 7가지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상황에 적합한 사례를 개발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례 제시
2. 촉진적 의사소통을 위한 상담자의 태도
3. 상담 축어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상담(counseling)이라는 용어는 1957년에 우리나라에서 있었던 학교에서의 상담자를 육성하기 위한 강습회에서 첫 사용되면서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당시 상담의 실제와 이론은 학교생활지도(guidance)의 한 가지 방법으로 알려진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담이 가지는 개념은 흔히 훈육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어지는 본론에서는 촉진적 의사소통을 위한 상담자의 태도’로 학습한 7가지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상황에 적합한 사례를 서술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사례 제시
주 호소문제는 우울하고 불안한 마음으로 기억력 감퇴가 지속되고 있는 클라이언트의 사례이며 클라이언트는 하루 빨리 회복하고 싶은 마음으로 상다믈 요청한 상태이다.

2. 촉진적 의사소통을 위한 상담자의 태도
본 과제를 위해 선정한 상담자의 태도는 공감적 이해이다. 공감은 동감이나 동정과는 다르다. 동정은 내담자를 불쌍하게 생각하고 동등하기 보다는 한 단계 위에서 자신이 권력을 갖고 행동하는 것을 뜻한다. 내담자가 공감적 이해가 아닌 동정을 받게 되면 오히려 자존심이 더 상할 수 있다. 동감은 상담자가 객관성을 잃고 내담자의 감정에 대해 느끼는 것을 말한다. 상담자는 상담자의 주체성을 잃어버리지 않아야 내담자를 객관적으로 돕는 것이 가능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