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청소년기의 주요 정서장애 (우울장애)
2. 엘리스의 성격핵심이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청소년기에 정서건강은 아직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이것을 인식한다 해도 대수롭게 생각하지 않거나 때때로 편견 혹은 오해 갖을 수가 있다. 그러나 청소년 정서건강은 다음과 같은 이유들로 인해 중요하게 여겨져야 한다.
첫째로 청소년기의 문제행동 혹은 정서장애는 매우 흔한 것이라는 점이다. 아동기를 포함하는 청소년기에는 정서의학적으로 진단 내릴 수 있을 정도의 심한 정서장애는 8~10%정도라고 알려져 있다.
둘째로 수많은 유형의 문제행동이나 정서장애가 단지 학령기에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생동안 지속될 수 도 있다는 점이다. 초기에 이러한 장애를 치료하지 못한다면 평생 정서장애를 안고 살아가야 할 수도 있다.
셋째로 최근 급변하는 사회와 상황이 청소년들을 위험에 빠뜨리기 쉽고 어린 연령일수록 이러한 정서 장애는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