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Premature Atrial Contraction
심방조기수축
심방에서 발생하는 기외수축(조기수축), 즉, 예기되는 심주기보다 빨리 심박의 수축파인 P파가 출현하고, 이에 이어서 QRS파가 출현하는 것을 심방성기외수축이라고 한다.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심실조기수축
심실에서 발생하는 기외수축(조기수축)
Atrial Tachycardia
심방빈맥
동방결절(Sino-atrial node, SA node)이 아닌 심방 내 다른부위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심실상성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 SVT)의 한 형태이다.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포괄적: 심방에서 발생하는 모든 빈맥
-좁은의미: 방실결절(AV node)을 이용한 방실결절 회귀성 빈맥과 방실결절 및 우회로를 이용한 방실 회귀성 빈맥
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빈맥
심장의 심실에서 시작되는 비정상적으로 빠른 맥을 심실빈맥이라고 한다. 심실빈맥의 심실의 전도계나 심근에서 유발 되며 심전도에서 심실조기 박동이 3회 이상 반복되어 나타나는 경우(즉, 심실조기수축이 3회이상 연달아 나올 때)를 말하며 대게 규칙적이며 분당 120-250회 가량 된다.
if) 심실조기수축이 3회이상 연달아 나왔으나 HR가 100회 미만일 경우, 심실고유율동(Idioventricular rhythm)으로 표기
AV block
Atrioventricular Block
방실차단
심방의 전기자극이 방실 전도계의 병적인 불응현상이나 절단에 의해 심실로 전도되는데 문제가 생긴 상태
*방실차단의 종류
– 1도 방실차단(1st degree AV block)
– 2도 1형 방실차단(2nd degree AV block Mobitz type 1)
– 2도 2형 방실차단(2nd degree AV block Mobitz type 2)
– 고도 방실차단 (High degree AV block)
– 3도 방실차단 = 완전 방실차단(complete AV block)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