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받은 지주막하출혈 케이스

목차

1. 간호사정
1) 간호력 정보
2) 신체사정
3) 진단적 검사
4) 질병에 대한 기술
5)투약

2. 간호진단
1) 문제 및 자료 열거
2) 정상과 비교
3)열거된 자료를 그룹화(범주화)

3. 간호과정 작성

4. 참고문헌

본문내용

(4)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다음 ①~⑤의 제목으로 A4 한 페이지 정도 설명
[좌측 지주막하 출혈]

① 질환의 원인 및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대부분의 뇌 표면의 돌출된 동맥벽이 파열되어 발생한다. 동맥의 돌출부위를 동맥류라고 하는데, 대개 이 동맥류의 파열이 원인이다. 혹은 비정상적인 혈관들이 얽혀서 만들어진 동정맥기형에서 혈액이 누출되어 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하기도 한다.
② 임상증상(Clinical manifestation): 동맥류가 파열되어 강한 압력의 동맥혈이 지주막하 공간으로 뿜어져 나오면 뇌압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대부분의 환자는 일생 동안 경험해보지 못했던 격심한 두통을 느끼고 이어 구토와 경부 강직, 의식장애가 올 수 있다. 이러한 출혈이 지속적인 뇌압 상승으로 이어져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면서 허혈성 뇌손상 가능성도 있다. 때로는 이러한 출혈이 뇌조직을 뚫고 들어가 뇌실질내 출혈 혹은 뇌실 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때는 허혈성 뇌손상 혹은 일반적인 뇌출혈 증상이 동반될 수도 있다.

<중 략>

간호진단 #1 : 마비와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NANDA간호진단 정의 : 활동 지속성 장애 – 일상생활을 수행하거나 지속하는데 필요한 생리적, 심리적 에너지가 불충분한 상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에 일상생활을 스스로 할 수 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투약 후 1시간 이내에 배변활동을 했다고 말한다.
: 대상자는 설명을 들은 후 투약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 해 간호사에게 설명할 수 있다. .
◾기대되는 결과 제시: 대상자는 입원 후에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으며 활동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