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사정
1) 간호력(Nursing history)
2) 신체사정
3) 진단적 검사
4) 질병에 대한 기술
2. 간호진단
1) 지료분석과정
2) 모든 자료 열거
3) 정상과 비교
4) 열거된 자료들 그룹화(범주화)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정
(1) 간호력(Nursing history) 정보
이름(Name) : 김OO
입원일시(Date of admission) : X
주 호소 및 입원시 진단명(Medical diagnosis) : 대퇴골절 및 치매
•나이(Age) : 87세 성(Sex) : 여성
•결혼여부(Marital status) : 기혼
•교육정도(Educational background) : X
•과거력: X
•생활습관(흡연, 음주, 수면 등): 밤에 잠을 잘 자지 못함, 자주 배회함, 기억저하, 일상생활 불가능, 며느리가 항상 옆에 상주함
•알레르기 여부: X
•질병진행과정(Process of disease; 배정 받은 환자의 질병과정) : 대퇴의 개방 정복, 내부고정 수술을 받음, 수술 후 3일 지나 문제없이 회복 중, 오른쪽 발에 부종있음, 치매로 인하여 인지저하와 일상생활 불가함
(2) 신체사정: 신장, 체중, 활력징후, 시진, 청진, 촉진 및 타진을 통한 건강사정 내용을 기술
활력징후: BP 134/88mmHg, PR 96회/분, RR 18회/분, BT 36.5 ℃, SaO2 94%
(3) 진단적 검사(Lab data)에 대한 결과 및 정보(정상이아닌 것에 대해 기술)
•혈액 검사
•방사선 촬영 등
(4)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다음 ①~⑤의 제목으로 A4 한 페이지 정도 설명
[치매]
① 질환의 원인 및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치매의 원인 질환으로는 80-90가지가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3대 원인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그리고 ‘루이체 치매’이다. 알츠하이머병은 가장 흔히 발생되는 치매의 원인으로, 전체 원인의 약 50%를 차지한다. 뇌졸중 후에 발생하는 혈관성 치매는 약 10-15%,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약 15%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