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보고서 (이태원 참사의 원인과 대응방안 분석하기)

목차

1. 관련 기사

2. 원인 분석
① 작은 공간에 밀집된 사람들
② 밀집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③ 군중의 밀집에 대한 정부나 지자체, 경찰 차원의 모니터링 소홀
④ 사건 발생 후 현장 대응 미흡

3. 향후 대책
① 좁은 골목길 건축물에 대한 인허가 제도 개선
② 주기적인 제도적 개편
③ 재난 매뉴얼에 대한 교육
④ 공권력 적극적 개입

4. 출처

본문내용

1. 관련 기사
「 “최악의 참사 사고 원인은”…이태원 압사 사망 사건, 너무 끔찍했던 당시 상황 」
2022년 10월 29일 토요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이태원 세계음식거리의 해밀톤호텔 서편 좁은 골목 등에 할로윈 축제를 즐기려는 수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대규모 압사 사고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30일 오전 9시30분 기준, 이태원 핼러윈 참사로 151명이 숨지고 82명이 다쳐 총 233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주 사망원인은 ‘미는 힘에 의한 전도(넘어짐) 및 압사’로, 압력에 의해 흉부가 압박되면서 숨을 쉬지 못해 죽는 외상성 질식사가 발생한 것이다. 특히..

<중 략>

2. 원인 분석
① 작은 공간에 밀집된 사람들
자동차나 기계 등 무거운 것에 깔려 압사하는 경우와는 달리 이번 이태원 참사는 여러 명의 군중이 모여 서로를 압박하게 되면서 발생한 다중밀집사고다.
사상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해밀턴 호텔 옆 이태원로 173 인근 골목은 폭 4m, 길이 40m에 불과한 양쪽 끝에 턱이 있는 내리막길이었으며, 골목길 끝에는 번화가와 이태원역 1번 출입구가 이어져있어 인파가 더욱 더 몰렸다.

군중행동 분석가인 메흐디 무사이드에 따르면, 서울 이태원 압사 참사 때 1 제곱미터(m2) 당 최소 8명, 최대 10명의 사람들이 몰려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