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항정신병 약물(Antipsychotic drug)
2. 기분조절제(mood stabilizer)
3. 항우울제(Antidepressant drug)
4. 항불안제(Antianxiety Drugs, Anxiolytics)
5. 인지기능 개선제
본문내용
• 정신질환은 복잡한 신경전달 체계 내에서 신경전달이 과도하거나 부족해서 유발된다고 봄
• 약물관리는 많은 정신질환자들의 치료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함
• 효능(efficacy): 약이 달성할 수 있는 최대 효과
• 역가(potency): 최대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약물의 양 / 저역가 약물은 효능을 갖기 위해서 용량을 더 높여야 하는 반면 고역가 약물은 저용량으로도 효능을 갖는다.
• 반감기(half-life): 약물의 반이 혈류에서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
• 정신약물들은 이러한 신경전달체계를 조절하여 증상을 완화 시키고 질병을 치료함
<중 략>
3. 항우울제(Antidepressant drug)
【 작용기전 】
Norpinephrine과 serotonin의 재흡수를 감소
【 항우울 약물의 효과 】
① 정신운동 지연 회복: 기분 고조, 사고 중진, 기억력 향상
② 식욕 증가와 불면증 해결
③ 신체 활동 증가
【 항우울 약물의 적응증
① 우울장애, 불안장애, 치료
② 용도 변경 사용은 만성 통증과 편두통, 말초신경병증, 당뇨신경병증, 수면무호흡, 피부장애, 공황장애, 섭식장애 치료
【 항우울제의 특징 】
증상이 좋아지는 순서가 있음
※ 항우울제 약리 효과가 나타나는 시기
: 보통 수면&식욕 등이 먼저 회복 → 신체E&우울감 회복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