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주제 선정의 이유
II. 본론
1. 호우의 정의 및 종류
2. 우리나라의 호우 위험지역
3. 강수량 기준
4. 국내 호우 피해 사례
5. 국외 호우 피해 사례
6. 호우 발생 시 대처요령
III.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주제의 선정 이유
환경과 재난에 관한 연구는 지역사회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몇십 년 동안의 기후 변화는 지구상에서 극단적인 기후 현상, ‘호우’와 같은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홍수, 지반이동, 토지 침하와 같은 재해가 발생하여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입힌다. 이뿐만 아니라 호우로 수질 오염, 음식물 위생, 감염병 확산 등으로 인한 보건 문제 또한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호우로 인한 재난은 지역사회의 취약 계층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응급의료 서비스의 접근성, 지역의료 인력의 대응 능력, 대피소에서의 보건 서비스 등이 고려 사항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지역사회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호우에 대한 정의와 국내외 사례를 통하여 대응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II. 본론
1. 호우의 정의 및 종류
호우는 시간과 공간의 규모와 관계없이 많은 비가 연속적으로 내리는 것을 말하며, 호우에 대한 명확한 기상학적 정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큰비와 같은 뜻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단시간에 많은 비가 내리는 집중 호우와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① 호우 주의보 : 강우량이 3시간 동안 60mm 이상 또는 12시간 동안 110mm이상
② 호우 경보 : 3시간 누적강우량이 90mm 이상으로 예상되거나, 12시간 누적 강우량이 180mm 이상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