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조현병에 대한 요약정리
1. 조현병의 원인
2. 조현병의 임상경과
3. 조현병의 행동특성
4. 조현병의 진단기준
5. 조현병의 종류
6. 조현병의 치료
7. 조현병 대상자 간호
Ⅱ. 조현병 관련 영상 요약 및 느낀점
1. 조현병
2. 왜걸리나요?
3. 증상
4. 치료의 중요성
5. 재발예방
6. 약물치료
7. 느낀점
본문내용
Ⅰ. 조현병에 대한 요약정리
1. 조현병의 원인
● 생물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생화학적 요인, 신경해부학적 요인
● 심리사회적 요인) 프로이트, 말러, 설리반, 가족관계이론
● 유발스트레스 요인) 생물학적 스트레스 요인, 증상유발요인
<중 략>
4. 조현병의 진단기준
A. 다음 활성기 증상 중 2개의 증상(또는 그 이상)이 1개월 중 상당기간 동안 지속됨.
적어도 ①,②,③ 중 하나는 나타나야 함.
① 망상
② 환각
③ 혼란된 언어(사고이탈, 지리멸렬 등)
④ 심하게 혼란된 또는 긴장증적 행동
⑤ 음성증상(감정표현의 감소나 무의지증 등)
B. 직업, 대인관계, 개인위생 등의 중요 영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서 기능수준이 병전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한 경우 (또는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발병한 경우 대인관계, 학업, 활동기능에서 기대되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함)
C. 장해의 징후가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6개월 중 적어도 1개월간 활성기 증상을 만족시켜야하고 전구기나 잔류기 증상의 기간이 포함될 수 있다. 전구기나 잔류기 동안에는 장해의 징후가 음성 증상이나 진단기준 A에 기술된 두 가지의 이상의 증상이 약해진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예: 기이한 사고, 비정산적인 지각 경험)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