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이론적 고찰
(1) 질병의 정의
(2) 질병의 병태생리
(3) 질병의 원인
(4) 질병의 증상 및 징후
(5) 질병의 진단
(6) 질병의 치료
(7) 질병의 간호
2) 간호사정
(1) 인구학적 자료
(2) 방문이유 (주호소)
(3) 현병력: 발병, 활력징후, 주호소의 특성)
(4) 과거력
(5) 가족력: 가계도, 가족의 병력
(6) 임상검사결과: ABGA, Hematology, WBC diff, 일반화학(serum), 기타 방사선 검사 결과
(7) 약물 치료(10개 사진 첨부되어 있음)
(8) 간호진단 3개 (기준 척도에 따른 우선순위 구분함)
(9) 간호과정 2개 (사정부터 평가까지)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00병원 00병동에서 실습하며 Pneumonia, Cellulitis, influenza 등 많은 case를 볼 수 있었다. 이 중 RSV Pneumonia 환자 ○○○을 case로 선정하였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1월 4주 차(22~28일) 64명이었던 RSV 감염증 환자는 3월 2주차(12~18일) 256명까지 4배가 증가했다고 한다. 통상적으로 우리나라 RSV 감염증 발생은 10월부터 시작하여 다음해 1월경 유행 정점에 도달하고 그 이후 줄어든다. 그러나 이번 RSV 감염증 유행의 경우 예년보다 일찍 찾아왔다가 사그라지더니 올해 2월부터 다시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RSV 감염증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이나 침방울을 통해 쉽게 전파된다. RSV 감염은 만 2세가 되기 전 한 번씩 걸릴만큼 흔하다. RSV에 감염돼 폐렴이 진행된 후 입원한 영유아의 사망률은 2%에 달한다. 이처럼 유아 사망의 한 원인으로 꼽히는데도 아직 상용 가능한 백신은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영유아에게 치명적인 RSV폐렴을 문헌고찰을 통해 질병을 이해하고 올바른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써 환아의 회복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case로 선정하였다.
2. 본 론
1) 이론적 고찰
(1) 질병의 정의
RS바이러스 감염증은 RS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유발하는 감염성 호흡기 질환이다. 이는 만 2세까지 거의 모든 소아가 감염될 정도로 감염력이 높다. 주로 모세 기관지염과 폐렴으로 진행된다. 어린 아기가 감염될 경우 사망 위험률이 증가한다.
<<중략>>
2) 사례연구 아동 간호사정
가. 인구학적 자료
정보제공자 모이름 ***
출생일출생 장소성별 나이 키 체중
2021.00.00병원 F 1세 76cm 11kg
나. 방문이유(주호소)
열, 기침 가래, 얼굴과 몸에 발진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