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교시. 중국과 중국인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
2. 2교시. 어떻게 중국학을 해내갈 것인가?
3. 3교시. 어떻게 중국학을 해내갈 것인가?
4. 4교시. 한중 수교와 교류 현상
5. 5교시. 한국과 중국의 경제 교류
6. 6교시. 중미 갈등과 우리의 선택
7. 7교시. 중국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8. 8교시. 주체적인 시각으로 중국 바라보기
9. 9교시. 태극기 휘날리며~~
10. 10교시. 중국어와 중국문화의 관계
11. 11교시. 중국의 근대화와 언어문자체계의 개혁
12. 12교시. 중국의 근대화와 어휘 구조의 변화
본문내용
1교시. 중국과 중국인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
(1)한중간에 오해와 편견이 발생하는 이유는?
1⃣ 상호 이해의 부족: 예를 들어, 6년만에 다시 만난 친구를 예전 친했던 모습처럼 이해없이 대한다 → 그 친구가 느끼기엔 기분 나쁠수 있음.
2⃣ 이념과 가치관 차이 : 사회주의 vs 자본주의 → 친구가 못 될 이유가 없기에 되돌아볼 필요가 있음
3⃣ 북한과 대만의 존재와 그것을 둘러싼 국제 관계
+2년 후, 대만 침공 (통합 목적 : 전쟁의 형태일 확률 높음) → 우리나라 위험! Feat. 청일전쟁(전쟁 자동개입)
(2)한중간의 오해와 편견을 극복할 방안은?
→ 역지사지의 자세: 중국을 부정적으로만 소개하거나 웃음거리를 만드는 예능등의 메스컴 문제 해결
또한, 뉴스 = 새로운소식 하루살이(자극성 높음)
그러므로 ‘중국’을 뉴스 통해서 알아가더라도 객관적으로 구분하며 받아들면 오해가 훨씬 나아질수도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