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배경 및 목적
2.세부 내용
3.평가계획
4.기대효과
5.소요예산
본문내용
대한민국은 마약 청정국? 이 말도 이제 다 옛말이다. 지난 2월 대검찰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마약사범 수만 1만 8395명을 기록했다. 연령별 단속내용을 보면 20~30대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나며 젊은 층이 주를 이뤘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청소년 단속 수가 무려 543명이라는 것.(출처 : 청소년 마약 건수 500건 넘어…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독서신문, 2023.06.30., https://www.readersnews.com)
• 약물중독은 물질중독의 하나로, 마약뿐만 아니라 약물을 환각 등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약물중독에 해당된다.
• 최근들어 마약류 사용은 미국 등 외국에 비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프로포폴(향정신성의약품) 남용, 인터넷을 통한 마약 공급 등 약물중독 문제가 제기되었다.빠르게 변하는 사회와 경기 침체, 실업 증가는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가정 해체는 정신건강의 보호막을 약하게 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 인터넷 접속이 용이하고, SNS도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인터넷과 SNS를 통해 마약류 등 불법적인 약물이 거래되거나, 환각 등 바람직하지 않은 약물의 효과에 대한 내용이 유포되기도 한다.
• 약물사용 예방은 사용 예방(1차 예방), 조기개입(2차 예방), 치료, 재활, 재발 예방(3차 예방)으로 구분되는데, 1차 예방은 약물중독이 되기 전에 예방하는 것으로 약물교육 프로그램, 법적 제재 강화,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 등이 있으며, 2차 예방은 약물 사용의 조기 발견·치료, 3차 예방은 재활치료이다1). 1차 예방, 2차 예방, 3차 예방이 모두 실시되어야 약물중독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