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52페이지 2번문제
(1)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은 어떤 인간인가?
(2)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왜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는가?
(3)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라는 칸트의 말은 무슨 의미인가?
(4) 정언명령이란 무엇인가?
(5) 홉스에 따르면 사회계약은 어떤 이유로 체결될 수 있는가?
(6) 흄은 도덕이 어떻게 성립된 것이라고 보았는가?
(7) ‘무의식의 의식화’란 무슨 의미인가?
(8) 프로이트에게 도덕은 무엇인가?
2. 70페이지 2번문제
(1) 인간의 본성이 왜 선한지에 대한 유가의 입장은?
(2) 유가에서 예의법도가 갖는 의미는?
(3) 유가를 인본주의 사상이라고 하는 이유는?
(4) 유가사상이 봉건 이데올로기로 받아들여지게 된 이유는?
본문내용
(1)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은 어떤 인간인가?
인간이 어떤 대상을 인지하고 지각할 때 자신의 욕망을 우선시 하는지, 합리적 사고를 우선시하는지에 대하여 인간을 이성적인 존재로 보는지, 욕망하는 존재로 보는지 구분할 수 있다. 플라톤은 「크라튈로스」에서 인간을 ‘자기가 본 것을 탐구할 수 있는 자’라고 설명하는데 이는 자신이 바라본 대상을 객관화하는 동시에 다양한 상황을 한 번에 고려할 수 있다는 능력이 있다는 뜻이다. 플라톤을 비롯한 고대 그리스 철학자에게 이성이란 사물의 참된 본성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플라톤은 사물의 참된 본성은 겉으로 쉽게 드러나지 않으며 물이 든 유리컵에 들어있는 젓가락이 굽어 보이는 등의 감각은 우리를 혼돈에 빠뜨리므로 감각에 속지 않고 참된 본성(이데아)를 파악하는 인간이 참된 인간이라고 보았다.
(2)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왜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는가?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인간은 이성에 따른 활동이 중요하다고 했다. 자연이 인간에게 이성을 주었기 때문에, 인간은 자연의 뜻을 잘 실현하여 우리 안의 최선의 것을 따라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최선을 따라가야 한다는 것은 나의 선택이 가치가 있고 인간다움을 증진시키는 것인지 물어보는 것을 말하며 당장 자신이 원하는 것을 행하는 욕구 만족을 추구하는 이기심과는 구별된다. 자연은 인간에게 이성을 가지도록 부여했으나 이성은 욕망과 이기심에 따라 항상 우선할 수 없기 때문에 이성을 잘 발휘할 수 있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하였다.
인간의 본성을 실현하는 능력을 곧 덕이라고 하는데,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덕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사람들이 덕을 획득하는 법(중용)을 위해 노력할 때에 공동의 이익의 성취된다고 보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