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학교 일반화학실험1 A+ 레포트] Exp5. 비누 만들기

목차

Ⅰ. Title
Ⅱ. Purpose
Ⅲ. Theory
Ⅳ. Chemicals & Apparatus
Ⅴ. Procedure
Ⅵ. Data & Results
Ⅶ. Discussion
Ⅷ. Reference

본문내용

Ⅰ. Title
비누 만들기
Ⅱ. Purpose
식물성, 동물성 기름을 사용해 비누 만들기
Ⅲ. Theory
1. 결합의 극성여부 및 분자의 극성
(1) 극성결합과 비극성결합
원소는 각각의 양성자 값을 고유하게 갖는다. 이는 원소가 중성 상태에 있을 때의 전자 수를 뜻한다. 이러한 원소들이 서로 결합 시, 양성자 수가 차이 나면 자의 전자구름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이 생긴다. 즉, 서로 다른 원자가 서로 결합할 때의 그 결합을 ‘극성 결합’ 이라 한다. 결합을 구성하는 원자들 사이의 전기음성도 차이가 클수록 전자의 쏠림 현상은 더욱 크게 나타난다. 하지만, 동일한 원자끼리 결합할 때는 전기음성도 차이가 존재하지 않기에 전자구름의 쏠림 현상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결합을 비극성 결합이라 한다.
(2) 극성 분자와 비극성 분자
극성 결합이 존재한다면 그 분자는 무조건 극성이라 오해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결합의 종류뿐만 아니라 분자 구조에 따라서도 그 분자의 극성은 결정될 수 있다. 중심 원자를 기준으로 대칭 구조를 가지지 못한 분자들은 그 결합 종류와 상관없이 극성을 띨 수 있다. 이러한 분자들을 극성 분자라 한다. 반면, 어떤 분자들은 극성 결합으로 이루어졌지만 대칭적 구조 때문에 전자들의 쏠림이 대칭을 이루게 된다. 결국,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극성을 띠지 않기에 비극성 분자라 부른다. 액체상의 물질들을 섞을 때는 같은 극성의 성질을 가지는 물질끼리 잘 섞인다. 비극성인 유지 물질이 극성인 물과는 섞이지 않는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다. 하지만, 실험 상 또는 실생활에서는 필요에 따라 이 두 가지 물질을 섞어야 하는 때가 존재한다. 이를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바로 계면활성제다.
2. 계면활성제
(1) 친수성과 소수성
계면활성제를 이해하기 전에, 친수성 그리고 소수성에 대해 알아보자. 탄소, 수소로 이루어진 알킬기와 같이 탄화 수소는 탄소 원자들이 사슬모양을 이룬다. 이러한 물질들은 비극성을 띠므로 극성인 물과는 잘 섞이지 않는다. 이런 물질들이 바로 소수성(hydrophobic)을 띠는 분자이다. 이와 반대로 아미노기, 카복실기 등 극성의 물질들은 물과 잘 섞일 수 있다. 이러한 분 자들을 친수성(hydrophilic) 분자라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