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목적
2) 이론
2. 실험
1) 압력강하
2) 기체흡수실험 사전준비
3) 기체흡수실험
3. 계산
4. 결과 및 고찰
1) 유량에 따른 충전층의 단위 높이당 압력강하(mmH20/m)
2) 고찰
5. 참고문헌
6. DATA SHEET
본문내용
1) 압력강하
① 변압기와 Air공급용 압축기 플러그에 연결된 멀티탭 전원을 켠다.
②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변압기 스위치를 켠다.
③ 마노미터에 연결된 관을 통해 오른쪽에는 입구기체(②ㅗ), 왼쪽에는 출구기체(①ㅗ,③ㅓ)가 들어가게 콕을 변경하고 다른 부분에는 기체가 들어가지 않도록 ④번 콕은 ㅓ로 변경한다.
④ 액체유량을 1로 설정하고 기체유량을 15로 설정한다.
⑤ 2~3분을 기다린 후 마노미터의 수치를 읽는다.
⑥ 기체유량을 15→30→45→60으로 변경하여 위 3~4번 실험방법을 반복한다.
⑦ 액체유량 1에 대한 실험이 완료되면 액체유량을 차례로 2→2.5→3→3.5로 변경시켜 위 실험을 반복한다(액체유량을 변경할 때는 먼저 기체유량을 15로 내린 후 액체유량을 변경한다.
⑧ 실험이 끝난 후에는 먼저 기체유량을 0으로 내리고 액체유량을 0으로 내린 후 마노미터에 기체가 들어가지 않게 양쪽의 콕을 ③ㅜ와 ②ㅓ로 바꾼다.
2) 기체흡수실험 사전준비
① KOH용액 5%용액을 증류수 500ml를 기준으로 제조한다.
② 0.1N-HCI 용액은 1N-HCI 용액을 10ml 취하여 100ml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를 눈금선까지 채운 후 잘 섞어서 준비한다.
3) 기체흡수실험
① 탄산가스통의 밸브를 열고 가스통의 압력 bar가 0.3인지 확인한 후 탄산기체의 유량을 7로 맞추고 air 유량은 20, 액체 유량은 1로 설정한다.
② 5% KOH 용액이 담긴 비커를 ⑦기상분석장비 호스에 연결한다.
③ 입구기체측정 : 입구에 혼합기체(air+탄산)만 넣기 위하여 장치 위쪽 콕(①)을 ㅓ로 변경한다.
A. 피스톤의 잔여기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피스톤 위의 콕(⑤)을 ㅓ로 바꿔서 피스톤의 기체를 빼주고 콕(⑤)을 ㅏ로 바꿔서 ④기상분석장비 안에 있는 기체를 피스톤으로 빨아들였다가 콕(⑤)를 ㅓ로 돌려서 기체를 빼낸다. 이 과정을 3~4회 반복하여 피스톤의 공기를 다 뺀다.
B. 기상분석장치 오른쪽에 위치한 호스(⑥)을 잠근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