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한국의 선거제도가 왜 문제일까?
2. 본론: 현행 선거제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민주화 이후 30년 정도가 지났지만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은 여전히 존재하며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민주주의의 근간이 흔들리지 않고 제대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선거의 민주적 기능의 중요성은 분명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거제도에 대한 개혁이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올바른 선거제도 개혁이라는 목적이 아닌 선거법 개정에 참여하는 국회의원들의 현실적인 이해관계 즉, 이익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는 선거의 민주적인 기능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는, 국민이 원하는 의사와 동일하게 반영될 수 있는 선거제도에 대한 개혁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추상적인 요소의 해결이 우선이 아니라 민주적 기능을 상실 및 왜곡시키는 문제점들을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 가장 먼저 ‘대표자 선출 방식’, ‘선거운동 개혁’, ‘투,개표 방식’로 나누어서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선거제도를 개혁하기 위한 필요한 요소들은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 글에서 다룬 세가지의 요소는 선거법에서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가장 대표적인 문제라고 판단했으며 이를 먼저 해결하지 않는다면 민주적 기능을 발휘하는 것은 단연 불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3가지 쟁점들이 민주적 선거, 진정한 민주주의를 위해 최우선으로 검토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