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료사정
2. 비정상 자료 목록(abnormal data list)
3. 환자문제의 초안(관련 자료 묶음)
4. 간호진단 목록(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5. 개념도(Concept Care Maps)
6. 간호계획, 수행, 평가(각 진단별로 작성)
7. 참고문헌
본문내용
Hepatic fibrosis and sclerosis (간경화,간경변)
정의
간 전체에 상흔조직이 발생한 것으로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재생결절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의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만성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 만성적인 담도 폐색, 담즙성 질환, 지속적인 과음과 간 독성 물질의 사용 등으로 간의 염증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등 여러 요소와 질환들에 의해 발생한다.
배에 복수가 차고 황달과 더불어 심한 경우에는 각혈을 하고, 코피가 자주 난다. 남자들의 경우에 유방이 여성과 같이 불룩 나오게 되는 증상이 나오게 된다. 아쉬운 점은 대부분 심하게 진행된 다음에 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치료를 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병태생리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 구조가 크게 뒤틀려 나타나는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말한다. 염증의 원인은 간세포가 간염바이러스나 독성물질에 노출되어 발생 한다 .간의 섬유화와 재생된 결절이 문맥관계와 림프성 담즙 통로를 압박하여 혈액이 간을 통과하기 어려워져 문맥압이 상승한다.
간경화증의 증상은 대부분 문맥성고혈압에 의해 나타나는데, 초기에 간은 보통 커지고, 단단하며 딱딱하게 되나 병리적 과정이 진전됨에 따라 간의 크기는 위축된다.
원인
● 만성 B형 간염 (약 70%를 차지)
● 알코올성 간염
● 만성 C형 간염
● 지방간염
● 자가 면역성 간염
● 경화성 담관염
● Wilson’s diesase
● 유전 질환
● 원인 불명
● 알코올 남용은 그 자체로도 간경변을 일으키며 간 질환을 빠르게 악화시킴
임상증상
간경화증은 잠행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초기증상이 뚜렷하지 않으며, 모호하고 전형적이지 않다. 진행이 되면 신체 각 부위에 영향을 미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