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로감염아동 간호과정 및 시나리오(아동간호A+자료 32페이지 수록)

목차

1) 사례

2) 문헌고찰 :발달 및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비뇨생식계통
2. 정의
3. 병인과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적 검사
6. 치료
7. 간호
8. 예방법
9. 간호진단과 관련된 간호중재

3) 간호사정

4)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 간호진단 우선순위에 따라 기록하세요.

본문내용

1) 사례

사례
6m 20d인 남아 박00군은 40주 체중 3.3kg, 키 49.5cm로 만삭으로 태어난 아이다. 박00군의 어머님은 현재 남편 없이 첫 아이를 키우는 상황으로 지지체계와 아이를 양육하는 방법에 대해 미숙한 상황이다.

<중 략>

2) 문헌고찰 :발달 및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성장발달상의 특징 및 관련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로서 아래의 내용 포함
▪ 대상 아동의 성장발달 특성을 이론적 근거와 비교
▪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시 간호진단에 대한 간호중재의 이론적 근거 제시
▪ 1개 이상의 주제관련 논문을 찾아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세요.

1. 비뇨생식계통

– 비뇨생식계통(genitourinary system)은 비뇨기관과 생식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장과 요관, 방광, 요도를 포함한 비뇨계통은 노폐물을 배설하고 산-염기,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한다.
– 생식계통은 성숙할 때 임신과 태아의 건강한 발달을 촉진시키는 내·외부 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 정상적인 신장은 다음의 기능이 수반되어야 한다.
■ 저하되지 않는 신장 혈류
■ 충분한 사구체 초미세여과
■ 정상적인 요세관 기능
■ 막히지 않는 소변의 흐름
– 신장의 기능적 단위인 신장단위(nephron)는 소변 형성에 관여한다. 신장단위는 신소체, 근위(proximal convoluted tubule), 신세관고리(loop of Henle), 원위곱슬세관, 집합관을 포함한 요세관 구조이다. 신소체(renal corpuscle)는 보우만 주머니(Bowman capsule)에 고리모양으로 들어가 있는 [사구체(glomerulus): 작은 덩어리의 모세혈관] 으로 이루어져 있다.
– 사구체의 모세혈관은 혈액세포와 혈장단백질에서 대사노폐물과 수분을 분리시켜서 소변을 만드는 여과막 역할을 한다. 신장은 사구체여과율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혈류를 유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