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
5. Discussion
본문내용
Abstract
DNA 운반체인 vector는 종류가 다양하며, DNA의 유지와 복제가 가능한 DNA분자이다. 그 중 plasmid는 가장 널리 쓰이는 vector이며, circular구조의 이중가닥 형태를 갖는다. 이번 실험에서는 제한효소(BamH I)를 이용하여 plasmid DNA(pUC4K)를 반응시켜 BamH I 인식부위인 405bp와 1669bp에서 plasmid DNA를 절단한 다음 그 결과물을 1% agarose gel을 이용하여 100V에서 30분간 electrophoresis를 실시하고 ladder를 기준으로 잘린 band와 잘리지 않은 band의 DNA 크기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한다. 잘리지 않은 plasmid DNA(pUC4K)의 총 길이는 3966bp이며 405bp와 1669bp에서 잘린 Plasmid DNA는 길이가 1264bp, 2702bp의 두 DNA로 나뉘며, 1264bp길이의 band가 크기가 제일 작기 때문에 전기영동 결과 이동속도가 제일 빠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기영동 시 Supercoiled형태는 linear형태보다 속도가 빨라 잘리지 않은 plasmid DNA는 크기가 제일 크나 2702bp 크기의 DNA와 비슷한 이동속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이용한 제한효소(BamH I) 이외에 다른 제한효소인 EcoR I를 plasmid DNA와 반응시키고 그에 따른 결과를 예상하여 비교해보았으며, agarose gel의 농도를 더 높였을 때, 실험 과정 및 결과의 변화에 대해서도 예측해보았다.
Introduction
Vector란, DNA 운반체로 유전물질의 처리와 조작 그리고 운반에 필요하다. Vector는 숙주 안에서 안정적인 유지와 복제가 가능하고, 외부 DNA를 특정부위에 집어넣거나 제거할 수 있다. 특정부위에 삽입된 표적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하여 vector는 DNA 복제가 가능하도록 origin of replication을 갖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