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과거와 현재의 메데이아
3. 인물 관계와 어머니상
1) 아가메다
2) 이아손
3) 글라우케
4) 메데이아
4. 코르키스와 코린토스인
1) 디아스포라 집단
2) 자문화 우월주의
3) 군중 심리 메커니즘
5. 결론
본문내용
‘메데이아’라는 이름을 들어보았는가? 사랑을 쟁취하기 위해 친족과 타인을 죽인 질투의 화신, 희대의 악녀. 이러한 그녀의 독보적인 캐릭터는 문학, 회화, 웹툰, 드라마, 뮤지컬 등 과거부터 많은 작품의 소재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우리가 기존에 알던 매력적인 마녀 메데이아의 캐릭터는 바뀌고 있다. 2023 이상 문학상 심사위원 권영민은 근래의 대다수의 작가가 여성작가이며 성소수자와 페미니즘 등 파격적인 주제를 다룬다고 말한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때문일까? 웹툰 <하루만 네가 되고 싶어>, 문학 <악녀의 유물> 등의 요즘 작품에서 메데이아는 사랑의 아픔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통찰력을 지니며 시대의 불합리성에 맞서는 진취적인 여성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2005년, 동독 작가 크리스타 볼프는 <메데이아, 또는 악녀를 위한 변명 (Medea, Stimmen)>을 통해 남들보다 빠르게 메데이아의 페미니즘적 변용을 이끌었다. ‘뷔히너 상’, ‘오스트 리아 국가상’을 수상한 그녀는 메데이아를 통해 사회의 어떤 면모를 담고자 했을까? 볼프는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