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소득재분배의 개념,의의 및 사회복지정책의 기능
2) 소득재분배 유형
3) 소득재분배의 효과
Ⅱ. 결론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소득재분배는 기술적으로 보면 사회복지정책 대상 각 단위(개인 또는 가족)가 받은 급여 혜택에서 보험료 등으로 부담한 부분을 공제한 것이다. 이를 일차적 재분배 효과라 하는데, 일차적 재분배 효과는 계량화하기가 어렵지 않지만 소득재분배의 최종효과, 즉 사화보장을 통한 소득이전이 경제 시스템에 미치는 여러 가지의 영향을 이론적, 실질적으로 밝혀내기는 대단히 어렵다.
사회복지정책이 제대로 되면 사회적 지위가 높은 계층으로, 낮은 계층으로, 고소득층에서 저소득층으로, 젊은이에서 노인으로(이상연금), 건강한 사람에서 환자로(건강 보험), 소가족으로부터 대가족으로(가족수당), 경제활동인구가 많은 가족으로부터 그렇지 못한 가족(건강보험)으로의 소득재분배가 발생한다. 그러나 사회복지정책의 수직적 재분배 효과에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소득 비례제를 채택하여 소득이 높을수록 더 많은 보험료를 부담하지만, 누진적인 세독세(소득이 높을수록 세율까지 높은 누진세)에 비하면 그 효과가 낮고, 보험료의 한도액, 즉 일정 소득 이상은 같은 보험료를 부과하고 있어 고소득층으로부터의 재분배에는 한계가 있으며, 사회보장연구에서 보듯이 보험료만이 아니라 연금급여도 소득에 비례(많이 낸 사람이 많이 타간다는 것을 의미)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