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통신과정, 어린이 및 청소년의 폭력 성인사이트 접속문제 해결방법 세가지

목차

1. IP 주소, 도메인 이름, DNS, URL
2. 아동, 청소년의 폭력, 성인사이트 접속 관련 문제점 해결 방안

본문내용

1) IP 주소
인터넷에 연결된 각각의 컴퓨터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주소를 IP(Internet Protocol) 주소라고 한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는 전 세계 컴퓨터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주소이다.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중복되지 않는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상호충돌 없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IP 주소는 각 나라의 공인기관에서 할당/관리하는데, 우리나라는 한국인터넷진흥원(www.krnic.or.kr)이 담당하고 있다.
IP 주소는 IPv4(IP version4) 체계를 기준으로 보면 3자리 숫자가 4마디로 표기되며 각 마디의 숫자는 0~255 사이만 가능하다. 따라서 0,0,0,0 부터 255,255,255,255 까지 2의 32제곱, 약 42억개의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2) 도메인 이름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주소를 말한다. 원래는 네 자리로 구분된 10진수 숫자, 즉 32비트 이진수로 표현된 IP 주소(IP Address)를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문자를 이용하여 변환한 것이다. 우리의 주소체계와 같이 인터넷 상에도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들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특정한 주소가 정해져 있지 않다면 이들을 일일이 구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