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관리의 이해
2. 기획
3. 조직
4. 인적자원관리
5. 지휘
6. 통제
7. 간호단위관리
8. 간호관리의 법적 측면
본문내용
1장. 간호관리의 이해
1절. 간호관리의 개념과 체계 모형
1. 보건의료 환경의 변화
-국내 의료환경은 예측이 어려울 정도로 빠르게 급변하고 있다.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IT 기술은 병원 의료환경에도 영향을 미친다. 국민은 모든 건강관리 제공자에게 더 높은 전문성과 책무를 요구하고 있으며, 환자중심의료 도입을 유도하고 있다.
2. 간호관리의 개념
1) 조직
-인간집단: 조직은 인간 그리고 그들로 이루어진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동목표: 조직은 목표지향적이며 목표달성을 위해 존재한다.
-체계화된 구조: 조직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의 과업을 분류하여 부서에 할당하고, 구성원의 역할을 규명하며, 그 역할 간의 관계 결정하는 규정과 절차 등 가진다.
-경계: 조직 자체의 경계를 분명히 함으로써 다른 조직과 구별한다.
-환경에의 적응 : 환경은 조직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과 기술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시장을 제공하기 때문에 환경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기술이나 시장의 변동에 적응해야 생존할 수 있다.
2) 관리
-조직의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자원을 배분하고 이용하는 기능들로 구성되고, 또한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
3) 간호관리
(1) 간호관리의 개념
·간호관리: 목표 달성을 위하여 간호인력과 모든 자원을 활용하여 기획, 조직, 인적자원관리, 지휘, 통제를 하는 전 과정
-통합성, 인간중심성, 성과지향성, 상황적합성, 과학적 방법론 적용
(2) 간호관리의 필요성
-조직의 현상이나 문제에 대하여 원인을 규명하고 처방을 통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과학적 접근을 통해 과학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3. 간호관리체계
1) 간호관리과정
-자료 수집하고, 관리문제 진단하며, 관리중재방안을 기획하고, 기획자체를 수행하며, 결과 평가하는 것.
-간호관리과정은 간호기획, 간호조직, 간호인적자원관리, 간호지휘, 간호통제기능의 5단계로 구성 (기/조/인/지/통)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