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거주하는 시ㆍ군ㆍ구 기초자치단체에 제정되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회복지관련 조례2개를 찾은 후 찾은 조례의 제정 목적 및 조례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 기술하고, 각 조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논하시오.

목차

Ⅰ. 서론
1. 논의의 필요성 및 의의
2. 논의의 계획

Ⅱ. 본론
1. 조례제정의 절차
2. 사회복지관련 삼척시 조례현황
3. 조례제정 목적 등 관련분석
4. 조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례는 지방자치법 제22조를 바탕으로 지방의회가 법정 과정을 거쳐 제정하는 자치입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용적인 관점에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인 자치사무를 처리하기 위한 입법적인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조례의 내용은 추상적인 것에서부터 아주 구체적인 사항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현행 지방자치법 제22조의 조례개념에 따르면 형식적인 의미와 실질적인 의미를 모두 바탕으로 하여 지방자치단체가 법령의 범위 내에서 그 사무에 대해 지방의회의 의결로 제정하는 법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위해서는 먼저 그 근거가 되는 법률의 정비가 이루어져야 하듯,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정책 수립과 집행을 위해 이에 대한 근거가 되는 조례를 정비해야 한다. 즉 조례는 지역사회에 적용되는 법률로 볼 수 있다.
세계적으로 여러 국가는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지방자치의 역사도 깊고 범위도 넓다.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역사와 범위는 그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한참 미흡하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국가와 비교하면 자치가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이 제한적인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중앙정부의 권한을 지방자치로 이양하는 과정에 대해서도 인색하며, 그에 따른 법해석도 엄격하게 진행되는 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