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개념
2.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성공적 노화의 대안(자원봉사)
① 신체적 측면
② 심리적 측면
③ 사회적 측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 사회는 산업화와 가정의 기능 변화에 따른 출산 기피 현상 등으로 인하여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어 가고 있다. 많은 언론과 학계에서는 3년 뒤인 2026년 시기에는 초고령 사회를 예측하고 있다. 이에 빠른 속도로 앞당겨진 초고령 사회에서는 지금껏 노인들의 개인적인 책임과 문제로 간주되어 왔던 것들이 사회적 문제로 주목받아 가고 있기에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문제의 관건은 많아진 수요의 노인들이 국가와 사회가 어떻게 하면 비교적 행복하고 성공적인 노화를 보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것은 노인복지 현장에서 가지는 최고의 딜레마라고 할 수 있다. 성공적인 노화에 관하여는 1977년에 Rowe & Kahn Rowe&Kahn의 성공적 노화 모델에서 성공적인 노화와 이론적인 틀로 질병과 장애의 예방, 신체, 인지기능 유지, 적극적인 사회활동 외에도 노인의 4가지 어려움 중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는 고독감이나 외로움의 해소를 위해서는 성인 자녀와의 관계를 중요시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주장 이후에도 국내에서는 2000년대부터 이에 관심을 가지고 활발하게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노인들의 생산적이고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성공적 노후를 위하여 가장 필요한 것은 은퇴 이후의 상실된 사회적인 참여기회와 이에 대한 역할을 찾아주는 적극적인 사회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