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화학실험] A+, PCR 및 agarose gel 전기영동 실험

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3. 실험재료 및 기기
4. 실험과정
5. 실험결과
6. 고찰
7. Reference

본문내용

[ 실험목적 ]
– PCR의 원리를 이해하고, 겔을 직접 제조해본 뒤 전기영동 하여 DNA를 분리한다.
– DNA ladder의 band와 비교하여 증폭된 PCR product의 크기를 측정한다.

[ 이론 ]

1.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 PCR은 원하는 DNA band만을 증폭 가능하며, 이때 DNA polymerase가 사용된다.
– 30-40 cycle 정도 반복
– 증폭하고자 하는 표적 DNA의 한 DNA 사슬 3’말단에 상보적인 것과 그 반대 사슬의 3‘말단에 상보적인 2개의 특
정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 합성 → 이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를 원하는 절편을 함유한 변성된 한 가닥의 표
적 DNA와 혼성화 반응 시킨다.
(DNA polymerase는 Taq DNA polymerase 사용하며, 이는 열에 안정성이 있는 DNA polymerase이다.)
– PCR이 끝난 product를 분석하기 위해 전기영동을 진행한다.
– 반응에 아주 소량의 시료로 원하는 부분만 증폭가능하며, 정확도가 높다.
– DNA 지문검사, 혈연 관계 확인, 클로닝 기법 등에 사용된다.


1) Template DNA
• 증폭 대상이 되는 DNA. 일반적인 PCR의 경우 DNA를 사용하고, PCR 이전단계에서 Reverse Trans
cription을 행했을 경우 Reverse Transcription이 끝난 cDNA를 사용한다.
2) 한 쌍의 primer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