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한국인들은 자신들의 문화적인 정체성을 확립한 시기 이후부터 지금까지 크게 일상생활의 모습을 크게 바꾼 적이 없었다. 하지만 미국 문화가 들어오면서 부터 의복과 사는 집, 먹는 음식도 크게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이것은 수 천 년 변화의 크기를 뛰어 넘는 실로 엄청난 변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기독교는 일제 강점기 전후에 한국인의 지식인 중에 기독교 신자가 유독 많았다. 한국인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국과 기독교에 대한 좋은 인상을 갖게 되었으며 해방 뒤 군정도 미국에 의해 통치되었고, 그 이후 초대 대통령 역시 기독교 신자였다. 그리고 2대 대통령 윤보선과 장면 총리도 독실한 기독교 자들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기독교는 사랑과 정의라는 고차원적인 종교관을 띄며 기독교의 무차별적 사랑은 유교의 분별적 사랑에 함몰되어 있던 한국인들의 의식 속에 신선한 충격을 주는 계기가 되었다. 이처럼 한국은 미국과 같은 특정 국가에 강하고도 급격하게 쏠림 현상이 있는 것은 한국사 전체로 보았을 때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나타난 현상이다. 더불어 기독교 문화는 문화에 대한 성경적 견해로 복음의 ‘문화 초월성’과 동시, ‘문화 계약성’에 대한 인정으로 볼 수 있다. 계시로써는 하나님의 말씀은 문화를 초월하며, 구속사의 섭리는 세계의 모든 민족에게 동일하지만 하나님께서 각 민족들에게 말씀하실 때는 그 민족 고유한 문화양식으로 말씀하시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선교 신학에서는 문화 인류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된지 오래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타문화와 선교의 모형으로 이해해 커뮤니케이션의 원리로 평가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