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Ⅱ. PDA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Ⅲ. ROP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Ⅳ. NEC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Ⅴ. PPHN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Ⅵ. IVH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Ⅶ. TTN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Ⅷ. MAS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Ⅸ. BPD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X. Hyperbilirubinemia and Jaundice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및 간호
본문내용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1. 정의
: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출생 직후 폐가 지속적으로 팽창하지 못하고 찌그러들어 출생 후 진행성 호흡부전이 생기는 병
2. 원인
– 미숙아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폐 발달 미숙 (폐포 크기가 작고 포면활성제를 충분히 만들지 못해서)
3. 증상
– 호흡 곤란, 청색증, 함몰가슴, 비익확장
4. 진단
– 혈중산소농도
– 흉부 X-ray
– 혈액검사
– 위나 기관지에 들어있는 양수를 이용한 검사
5. 치료 및 간호
– 인큐베이터, 인공 환기요법, 각종 집중치료법
– 코르티코 스테로이드 투여
– 산소 투여 (기도양압술)
– 서펙턴트 제제
PDA
1. 정의
: 동맥관개존증은 출생 전에는 반드시 열려 있어야 하고, 출생 직후에는 닫혀야 하는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의 관이 출생 후에도 닫히지 않고 열려 있는 질환
2. 원인
– 대부분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 가족력이 확인 : 유전적 요소
– 태아기 : 과도한 항간질 약물에 노출
– 임신 초기 : 풍진에 감염됬을 경우
3. 증상
– 증상과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매우 다양함
– 작은 동맥관개존증 :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
– 가벼운 경우는 무증상이며 심잡음이 청취되어 발견
4. 진단
– 심장의 와류로 발새하는 심음을 청취
– 심전도, 심장초음파
– 청진상으로 심장 잡음이 들림, 심초음파, 흉부 X-ray(심장이 비대하게 나옴)
5. 치료 및 간호
– 아기의 증상에 따라 대부분 1세 이전에 작은 PDA는 저절로 닫힘.
– 적절한 호흡 및 수분을 유지하여 합병증 예방
– 프로스타글란딘 억제제
– 도파민과 도부타민 투여
– 심할 경우 수술
– 적절한 수분 및 호흡 유지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