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집의 개념과 장단점, 표집 조사 유형

목차

1. 표집의 정의

2. 표집의 장단점
1) 표집의 장점
2) 표집의 단점

3. 조사규모에 따른 조사유형
1) 전수조사
2) 표본조사
3) 사례조사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과학에서 어떤 현상에 대한 연구를 할 때 연구목적을 완벽하게 대표할 수 있는 연구대상을 선정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어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한 연구대상을 선정했다고 할지라도 연구대상 전체를 조사하고 분석하기에는 시간과 비용 등 현실적인 문제가 존재한다. 연구를 할 때 특정한 어느 한 집단에 국한하여 그 집단 전체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하는 경우와, 전체를 모두 조사하지 않고 그 중의 일부만을 뽑아서 연구하는 경우가 있다.
연구자들은 전체 모집단으로부터 특정 연구의 대상이 되는 일부 사람이나 집단을 선택하여 연구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렇게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일부 개체를 ‘표본(sample)’이라 한다. 즉 표본은 어떤 대상의 전체를 대표하도록 하기 위해 전체로부터 선택해 낸 것이다. 이렇게 모집단의 일부를 표본으로 선정하는 과정을 ‘표본추출(sampling)’ 또는 ‘표집’이라 한다(Warwick & Lininger, 1975).
또한 전체 연구대상으로 조사를 하는 경우를 전수조사라 하며, 그 가운데 일부 개체인 표본을 추출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는 경우를 표본조사라고 한다. 표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모집단 전체를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의 대표성과 어느 정도 규모의 표본을 선정하는 것이 일정한 수준의 정확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가 하는 적절성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