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효과성과 효율성 평가

목차

I. 프로그램 효과성의 평가
(1) 측정대상
(2) 효과측정 관련 자료 원천

II. 프로그램 효율성 평가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효과성이란 프로그램 목표의 달성정도를 의미하며, 효과성 평가는 프로그램의 목표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조사이다.
즉 프로그램이 본래 의도한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했는지, 달성했다면 과연 그것이 프로그램 때문이었는지 등을 분석하는 조사이다.
효과성 평가는 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파악한다. (1) 의도했던 프로그램 효과가 과연 그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했는가, (2) 발생한 프로그램 효과는 프로그램 목표와 대비하여 어느 정도인가, (3) 프로그램 효과의 크기는 해결하고자 했던 원래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충분한가, (4) 의도하지 많았던 부수효과(side effect)가 있었는지, 있었다면 그것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파악한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중단, 축소, 현상유지, 확장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
효과성 평가의 기획에서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의 공식목표를 종속변수로 규정하고, 측정 가능한 지표로 조작화한다.
이 경우 프로그램의 목표가 구체적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평가의 결과가 프로그램 때문이었다는 것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조사설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효과성 평가는 내적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는 실험설계방법이 많이 활용된다.
효과성의 평가는 프로그램 평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 종료된 이후와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이전의 상태를 비교해서 프로그램의 효과가 측정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