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내용분석의 개념과 특징

목차

1. 내용분석의 의의

2. 내용분석의 특징

3. 내용분석의 범주와 분석단위
(1) 내용분석의 범주
(2) 내용분석의 분석단위
1/ 단어
2/ 주제
3/ 인물
4/ 문단 문장과 단락
5/ 사항
6/ 공간 및 시간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내용분석의 의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은 개인이나 사회의 의사소통 기록물인 신문, 서적, 잡지, TV, 라디오, 영화, 연설, 편지, 일기, 상담기록서, 녹음테이프, 녹화테이프 등을 통하여 연구대상자(물)에 대한 자료를 간접적으로 수립하는 간접자료수집방법의 하나이다.
내용분석은 연구대상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이 어렵거나 상실된 경우, 연구대상자의 언어를 분석하고자 할 경우, 그리고 분석하고자 하는 자료가 너무 방대할 경우에 사용된다.
내용분석은 비관여적 자료수집방법을 활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조사방법 중 하나로, 연구 주제와 관련된 텍스트의 내용을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기술이자 방법이다.
이 때 ‘내용’은 단어, 의미, 그림, 상징, 생각, 주제 및 의사소통된 그 어떤 메시지를 나타낸다. 결국 내용분석은 이러한 인간의 의사소통의 기록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내용분석에 대한 정의는 학자에 따라 다르나,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해서 다음과 같이 정의를 내릴 수 있다.
내용분석이란 의사소통 기록물의 현재적 및 잠재적 내용을 객관적, 체계적, 양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조사방법이다.

2. 내용분석의 특징

내용분석은 1930년대 후반 선전(Propaganda), 여를(Public opinion)에 대한 관심의 증대에 따라 매스미디어를 분석하기 위해 활용되기 시작하였고, 제2차 세계대전 중 연설이나 선전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그 후 사회과학분야에서 자료수집방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여론 분석, 사회문제 분석, 사회복지발달사 분석, 사회복지실천론 분석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내용분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내용분석은 의사전달의 내용 내지 메시지를 그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즉 내용분석이란 어떤 의사전달자가 겉으로 표현한 메시지를 분석해서 누가, 왜, 무엇을, 어떻게, 어떤 매체를 통해 누구에게..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