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평가조사

목차

1) 개요

2) 평가조사의 목적

3) 사업(프로그램)평가의 종류

4) 사업(프로그램)평가의 주체

5) 사업(프로그램)평가의 내용

6) 평가를 위한 측정절차
1/ 평가목적 및 대상의 결정
2/ 프로그램 책임자 및 담당자의 이해와 협조 요청
3/ 프로그램 목표 확인
4/ 조사대상의 가설 및 변수 선정
5/ 이용 가능한 자료 및 측정도구 결정
6/ 새로운 측정도구의 개발
7/ 적절한 조사설계 형태의 선정
8/ 조사의 수행
9/ 결과의 분석 및 해석
10/ 결과보고 및 실제 이용

7) 사업(프로그램)평가의 측정
1/ 사례 – 부부의 결혼생활
2/ 사례 – 성장애 치료 프로그램 평가

본문내용

1) 개요

평가조사(evaluation research)는 때로 단일사례조사(single subject study)와 사업평가조사 혹은 프로그램 평가(program evaluation)를 모두 포함하지만, 여기에서는 사업 평가조사를 중심으로 다루고자 한다.
평가조사의 특별한 목적은 새로운 교수방법, 사업의 혁신, 그리고 사회복지사업이나 프로그램의 광범위한 다양성 등의 핵심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많은 방법들, 예를 들면 조사, 실험 등이 평가조사를 위해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평가조사는 사회과학 조사의 역사만큼 오래된 것이라 하겠다.
본질적으로 평가조사는 어떤 사회적 개입이 발생했거나 계획 되었을 때에도 적절하다. 사회적 개입은 어떤 의도된 결과를 만들어 낼 목적을 위한 사회적 맥락, 내에서 취해지는 행동이다. 즉 평가조사는 의도된 결과가 만들어 지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사회복지실천과 관련한 평가조사는 개인의 사회복지실천기술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 일반 조사방법론을 적용하는 응용조사이다.
즉 평가조사는 어떤 개입기술이나 프로그램의 개선 또는 계속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짓기 위해 개별적인 개입기술이나 프로그램이 목표하는 바를 어느 정도 달성하였는지를 측정하는 조사이다. 평가조사는 방법론상으로 일반조사와 차이가 없지만, 다음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표] 일반조사와 평가조사의 비교
평가의 대상에는 개인, 집단, 프로그램, 조직체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지만 개인 또는 집단에 대한 개입의 효과를 평가하는 조사를 ‘단일사례연구조사(single-subject study)’라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고, 프로그램이나 조직체의 효과를 평가하는 조사를 ‘사업평가조사 혹은 ‘프로그램 평가조사(program evaluation)’라고 부른다.

2) 평가조사의 목적

평가조사의 주된 문제는 평가되는 개입의 목적과 관련이 있다. “무엇이 새로운 프로그램의 의도된 결과인가?”라는 질문은 평가조사의 목적달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