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설이란?
2. 가설의 종류와 기능
3. 가설 정립의 난점
4. 좋은 가설의 기준
5. 가설의 종류
1) 식별가설
# 사례 –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2) 식별가설의 기능
(1) 분류 작업
(2) 사물의 성질 및 형태 판명 및 규명
(3) 분포 및 정도 제시
(4) 분석과 통합
# 사례 – 식별가설의 분석과 통합(사회적 지지망)
# 식별가설의 표현양식
3) 설명적 가설
4) 설명적 가설의 종류
(1) 규칙성의 종류에 관한 가설
(2) 인과관계에 관한 가설
# 설명적 가설의 표현양식
5) 가설 구성의 요건과 평가 기준
(1) 시험의 용이성
# 사례 –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시험의 용이성)
(2) 검증 혹은 입증의 명백성
(3) 가설 자체의 포괄성
(4)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양과 사설의 적합성
본문내용
1. 가설이란?
조사문제의 형성에서 중요하게 배려해야 할 사항들 가운데 하나는 그 문제가 시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경험 적으로 조사문제의 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거나 그것의 가능성 정도를 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가능성의 정도를 제시한다는 말은 그 문제에 대한 대답 또는 해결을 얻을 수 있거나 근거를 얻을 수 있다는 뜻이 되기도 한다.
조사에서의 가설(hypothesis)이란 어떠한 문제에 대해 그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잠정 적인 대답을 말하는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이 잠정적인 대답은 반증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설은 조사활동의 지 침 이 된다. 즉 대부분의 조사계획은 이러한 가설을 시험하기 위한 활동지침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설 없이는 조사를 어 디 서부터 시작해야 하며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 알 수 없다.
2. 가설의 종류와 기능
가설이란 어떤 가정을 명제화한 것이다. 가정은 어떤 현상에서 여러 요인 또는 변수 간에 관계가 있음을 기대하는 것이다. 보통 하나의 현상에 관한 관계적 진술을 ‘설명’이라 하며, 이러한 설명 이 실증에 의해 경험적으로 검증된 것을 ‘이론’이라 한다. 다시 말해 가설은 아직 경험적으로 실증되지 않은 명제이다.
진술 자체로서는 가설과 이론은 같은 것이다. 다만 차이라면 가설이 검증을 기다리는 진술인데 반해 이론은 검증이 끝난 진술이라고 할 수 있다.
가설은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은 그 추상 정도에 따라 첫째, 어떤 현상의 경험적 제일성(empirical uniform)의 존재를 서술하는 가설로서 경험 적 관찰, 즉 경험적 동량성의 존재를 파악하려는 가설(existence of empirical uniform), 둘째, 복합적인 이념형을 취급하는 가설(complex ideal type)로서 경험적 제일성이 서로 어떠한 관련성 아래 일정한 유형을 형성하는지를 논리적으로 검토하여 그들 유형이 서로 어떻게 관련지어지는지를 다루는 가설, 셋째, 분석적 변수 간의 관계를 취급하여 인과관계를 검토하려는 가설(relation among analytic variables)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