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주제별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 및 변수와의 관계 서술하시오

목차

I. 개념의 명료화 방안
(1) 개념적 정의
(2) 재개념화
(3) 재개념화 과정
(4) 조작적 정의

II. 조작적 정의의 선정 기준

III. 조작적 정의의 작성 원리

IV.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의 장단점

V. 개념의 한정성

VI. 개념 전달의 저해 요소

VII. 변수
1) 변수의 정의
2) 변수와 속성
3) 변수의 종류

본문내용

I. 개념의 명료화 방안

(1) 개념적 정의

‘개념적 정의(conceptual definition)’란 어떤 개념을 다른 개념을 사용하여 묘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지능’이란 추상적인 사고능력 혹은 문제해결능력으로 개념 지을 수 있다. 또한 개념 적 정의는 긍정적 개념 정의를 부정적인 것보다 선호한다.

(2) 재개념화

‘재개념화(reconceptualization)’는 개념의 불명료성을 재정의하기 위한 작업 개념을 보다 명백히 재규정하는 과정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재개념화의 방법으로서는 연구대상과 관련되어 있는 주요 개념들을 추출하고, 각 개념이 가지는 분명한 의미를 나타내는 요소를 분석하는 방법, 동일한 개념 이 상이한 뜻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헌을 검토하여 상이한 개념들을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재개념화는 개념의 이론적 성과를 올리기 위한 다른 특정 용어를 결정하는 등의 과정을 거처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의 개념 에 대한 일반화를 기할 수 있다.

(3) 재개념화 과정

첫째, 조사계획 후 조사자는 그 문제에서 모든 주요 개념의 목록을 작성한다.
둘째, 주요 개념 이 가지고 있는 요소를 분석 ㆍ 해명한다.
셋째, 이러한 개념의 용법을 파악하기 위해 다른 문헌을 조사하거나 재검토한다. 즉 개념이 명백히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우선 그 개념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발견해야 한다. 개념의 적용 상태를 보는 것은 개념의 명확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넷째, 이러한 개념과 유사한 개념 이 있는지 또는 현실과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비교 ㆍ 검토해야 한다.
다섯째, 상위개념과 하위개념을 결부시켜 파악하고, 고차원적이나 저차원적인 특수한 정의를 규정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반와 같이 재개념화의 절차는 우리에게 어떠한 개념 요소가 주요소가 되는 것인지를 알게 하고, 개념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 결과 사용된 개념 이 얼마나 보편적인지에 대해 확실히 알게 되고 객관적 신뢰도를 높여 준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