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계 방법에 의한 분류
2) 조사연구의 설계에 의한 분류
3) 조사 상황에 의한 분류
4) 접근방법에 의한 분류
5) 시간적 차원에 의한 분류
6) 응용 정도에 의한 분류
7) 연구결과 수준에 의한 분류
8) 통계 정도에 의한 분류
본문내용
1) 통계 방법에 의한 분류
통계는 한마디로 양적 기술(quantitative description)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통계조사(statistical study)는 이러한 양적 기술을 얻기 위한 과학적 조사라고 할 수 있다.
# 통계조사의 유용성 또는 목적
1/ 특정한 특성을 공간적으로 헤아림으로써 그 범위를 발견한다.
2/ 특정한 특성이 시간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발생하는 것을 비교 ㆍ 고찰함으로써 그 정향이나 방향을 발견한다.
3/ 특정한 특성을 지역적으로 비교 ㆍ 고찰함으로써 그 분포상해를 발견한다.
4/ 특정한 특성이 시간적, 주기적 또는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빈도를 발견한다.
통계조사를 위한 통계적 조작을 위해서는 항상 단위(unit)가 필요한데, 이것은 수량화가 가능한 표현으로서 통계조사의 기본이 된다. 그런데 수량화는 앞의 과학적 조사의 문제점에서 지적했듯이 사회과학에서는 많은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즉 사회과학의 연구주제 대부분은 질적인 것이기 때문에 질적인 문제를 양적으로 기술하는 일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몇 가지 노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인 측정 가능성, 객관성 등의 용어는 과학이 진보를 계속하면 자료의 고유한 특성이 아니라 반사와 그 반응을 전달하는 어떤 방식에 대한 명칭으로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질적인 문제를 양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단지 표현기술에서의 세련화 또는 객관화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