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장담함 성인실습-ckd, 만성신부전, 과정4개 사정도구 이용해서 직접 다 사정했습니다. 문헌고찰부터 과정, 참고문헌까지 후회 안함

목차

Ⅰ. 문헌고찰 · · · · · · · · · · · p 3-7
Ⅱ. 간호사정 · · · · · · · · · · · p 8-15
Ⅲ. 진단검사 · · · · · · · · · · · p 16-18
Ⅳ. 약물 · · · · · · · · · · · · · · p 19-22
Ⅴ. 간호과정 · · · · · · · · · · · p 23-41
Ⅵ. 참고문헌 · · · · · · · · · · · p 42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진단명
만성 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정의

● 3개월 이상 신장이 손상되어 있거나 신장 기능 감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 3개월 이상 사구체여과율(GFR)이 60mL/min/1.73㎡이하일 경우,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진다.

사구체여과율 수치 (mL/min/㎡)
관리
1단계
≥90
신장 기능 검사상 정상 혹은 소변검사상 이상이 관찰된다.
2단계
60~89
신장 기능의 약간의 감소가 관찰된다.
신장 기능 저하의 원인(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을 찾아 치료하고,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3단계
30~59
장 기능 감소에 따른 합병증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치료해야 하며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4단계
15~29
신장내과 의사의 진료를 받고 투석 방법 및 이식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
5단계
< 15(투석 요)
신장 기능이 심하게 감소된다.
혈액투석, 복막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장 대체요법을 시작한다.

원인

● 원인은 복잡하고, 신장 기능의 점진적인 손실을 가져오는 질병은 다양하다. 지역 및 나이 등에 따라 다르지만, 한국에서의 주된 발병 원인은 당뇨병성 신장질환(45.4%), 고혈압(18.3%), 사구체신염(11.1%) 등이 있다. 그중 당뇨병이 차지하는 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 혈관성 : 신장의 혈관 이상 또는 혈액 공급의 차질로 인해 신장이 손상된 것
– 전신적인 혈액순환 장애에 의해 신장에 혈액 공급이 저하되는 경우
– 신동맥과 신정맥처럼 큰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경우
– 신장 내부의 가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힌 경우

● 사구체성 : 사구체를 형성하는 미세한 혈관이나 보먼주머니 등 소변을 걸러내는 미세조직이 어떤 원인에 의해 파괴되면서 신장 기능이 나빠지는 것
– 원발성 사구체 질환
– 이차성 사구체 질환

● 요세뇨관 간질성 : 세뇨관이나 간질조직이 파괴되어 신장 기능이 나빠지는 것

● 폐쇄성 : 소변의 배출 경로가 어떤 원인에 의해 폐쇄되면서 요관이나 신우, 세뇨관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신장 기능이 나빠지는 것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