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력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신체검진
3. 간호사정도구
4. 의학적 처치
5. Problem List
6. 간호과정 적용
7. 회상요법 적용
8.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력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이름
이**
성별
F
나이
87세
주증상
불안, 우울, 기억상실
결혼상태
사별
종교
개신교
교육정도
초졸
직업
무직
가족관계
아들 2명
<중 략>
▶간호과정 적용
# 1. 신체적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엉덩이가 가렵고 따가워”
– “움직이지도 못하는데 엉덩이는 아프고 죽겠어”
객관적 자료
– 엉덩이 부근에 발적이 관찰됨
– 엉덩이 부근에 욕창 3단계가 관찰됨 : 뼈, 건, 근육을 제외한 피부전층 상실 단계
– 욕창 위험 평가 검사(Braden Scale) 점수 12점으로 욕창 위험이 높은 상태임
– 체위변경이 거의 없음 (대부분 앙와위 상태임)
간호 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4주 이내에 욕창 위험 평가 검사(Braden Scale) 점수가 12점에서 18점으로 증가할 것이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욕창 예방법을 말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중 략>
▶회상요법 적용
주 제
나의 고향, 부모, 친구들
목 표
프로그램의 목표와 이해, 친근감 형성, 첫회상
내 용
1) 나의 어린 시절과 성장기
2) 어린 시절 좋아했던 사람, 좋아했던 것
3) 어린 시절 잘했던 것, 잘못했던 것
1. 나이, 한글 해독
– “내가 몇 살이더라?”
2. 어린 시절에 사회적인 굵직한 사건이나 일들
– 말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심
3. 어린 시절 사회적 분위기, 나에게 어떤 영향을?
– 말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심
4. 제일 어릴 적이라고 생각나는 것은?
– “어릴 적에 마당에서 뛰어놀았던 거 같은데…”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