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2.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이해
3. 간호사정
4. 간호과정 3개(간호진단은 5개)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대상자는 38세 여성 강OO으로 임신 38주 +3일이며 2023년 4월 30일 새벽 4시경부터 질 쪽으로 핑크빛 분비물이 보이면서 불규칙한 수축이 보였고, 아침 8시경부터 4-5분 간격으로 규칙적인 진통과 양수가 흐르는 느낌이 있어 병원외래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후 분만을 위해 분만실로 입원해 분만하였다.
2.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이해
1) 정의
질식 분만은 분만 시에 태아가 질을 경유해서 만출되는 것을 말한다. 질을 통해 태아가 만출되면 자연 분만 이라고 한다. 자연 분만은 진통이 시작되고 나서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게 되는 1기,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고 나서 태아가 만출되기까지의 2기, 태아 만출 후 태반이 나올 때까지의 3기, 태반이 만출까지 이루어진 뒤 분만 후 1시간 동안을 4기로 나누게 되고, 양막 파열이나 혈성 이슬 등은 분만 진통 중 혹은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도 나타날 수 있다.
2) 기전
분만은 주로 태아가 성숙하여 출생 준비가 갖추어지는 임신 38주부터 42주 사이에 일어나게 된다. 분만 이론은 5가지가 있다. 첫 번재는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이론이다. 두 호르몬 간의 비율이 임신을 유지하고 분만을 일으키는 데 중요하다고 제시하는 이론이다. 옥시토신 이론은 옥시토신이 직접적으로는 자궁근육에 작용하여 자궁수축을 유발하고 간접적으로는 프로스타글란딘 형성을 증가시킨다고 제시하는 이론이다. 태아 내분비조절 이론은 성숙한 태아의 부신이 분만 기전을 자극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분비한다는 가설로, 태아의 스테로이드는 자궁수축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물질을 분비한다는 이론이다. 프로스타글란딘 이론은 스테로이드에 의해 분비되는 지질 전구물질이 아라키돈산을 자극하여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이 증가되고 활성화되어 자궁근육이 수축된다는 것이다. 자궁신전이론이란 자궁근육의 신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일정한 정도로 신전되면 자궁수축이 유발된다고 제안하는 이론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