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원인
(2) 양상
(3) 임상증상
(4) 진단
(5) 치료
(6) 간호
Ⅱ. 임상 사례 연구보고서
(1) 일반적 정보
(2) 정신병력
(3) 과거력
(4) 발달력
(5) 현재상태
(6) 가족력
Ⅲ.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례 연구 대상자 질환
질환명
schizophrenia (조현병)
• 조현병이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미국정신의학협회에서는 조현병을 ‘지적, 정서적, 행동적 장애가 다각도로 혼합되어 현실관계와 개념형성에 장애를 나타내는 정신증적 반응군’으로 정의
가) 원인
생물학적 요인
⦁ 유전적 원인- 가족 연구를 보면 한쪽 부모가 조현병일 때 자녀 발생률은 8~18%, 양쪽 부모가 조현병이면 자녀 발생률은 15~55%, 한 형제가 조현병인 경우에는 동기간의 유병률은 3~14%, 조현병의 일란성쌍생아 일치율은 69~86%이고, 이란성 쌍생아 일치율은 2~17%로 나타남
⦁ 신경생화학적 원인- 도파민과 세로토닌 등 여러 신경전달물질의 상호작용불균형
①도파민: 조현병의 양성증상은 도파민 경로 중 중뇌변연계 도파민 경로의 과도한 활성과 관련이 있으며, 음성증상은 중뇌피질(mesocortical) 도파민 경로의 활성 저하로 설명
②세로토닌: 중뇌, 전두엽, 선조체, 등에서 도파민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도파민의 음성 증상을 유발하며, 세로토닌과 도파민 복합차단제인 일부 비전형 항정신병약물을 사용하면 음성증상 치료에 효과적
③글루타메이트: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글루타메이트의 주요 복합수용체의 기능을 차단하면 망상, 환청, 위축, 정서둔마, 인지장애 등 증상 유발
④노어에피네프린: 혈장, 뇌척수액, 뇌에서 노어에피네프린 활성 증가
⦁ 신경발달학적 원인- 출생 시 외상, 출생 전 산모의 영양불균형, 흡연, 음주, 스트레스
심리학적 요인
• 초기 발달 장애 : 프로이드, 에릭슨, 셜리반, 피아제, Mahler, Kohlberg 등의 발달이론에서 발달 과정상의 문제
• 가족관계 이론 : 가족 환경이 조현병의 소인이 있는 사람에게 정서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며, 특히 가족간의 상호관계와 의사소통이 발병에 중요한 역할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