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실습 케이스, 조현병, 간호과정

목차

1. 질환에 대한 이해
2. 대상자에 대한 이해
3.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질환에 대한 이해
1.1 정의
– 심한 신경생물학적 부적응반응으로 사고, 인지, 정서, 지각, 행동, 대인관계, 의욕 등 여러 측면에서 장애를 일으키는 뇌기능장애
– 조현병의 정신병적 양상은 주로 10대 말에서 30대 중반에 출현
– 호발연령: 남성은 15~25세, 여성은 25~35세
– 발병 후 5년 이상 계속 되는 경우 완전한 회복을 기대하기 힘들고, 발병 후 회복하는 경우는 대개 2년 이내 회복
– 예후 좋은 경우
▶ 병전의 사회적·성적·직업적 기능이 양호
▶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원이 있음
▶ 급성으로 발병
▶ 지지체계가 충분한 경우
–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
▶ 병전 사회기능이 좋지 않음
▶ 뚜렷한 촉진요인이 없는 경우
▶ 점진적으로 발병
▶ 위축과 격리 행동이 나타남
▶ 재발횟수가 많음
▶ 지지체계가 없는 경우

1.2 원인 및 역동
1) 생물학적 요인
① 유전적 요인
– 일란성 쌍생아 발생빈도(40~50%)가 이란성 쌍생아 발생빈도(9~15%)보다 더 높음
– 한쪽 부모가 조현병인 경우 자녀의 조현병 발병률 15%, 부모 모두 조현병일 경우 자녀의 조현병 발병률 35%
– 조현병 발생 빈도는 일반 인구에서보다 조현병 대상자의 친척 중에서 더 높으며, 가족관계가 가까운 친척일수록 높음
② 신경학적 요인
–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 결과 조현병 대상자의 전두엽 대사와 기저신경절의 활동 저하
– 조현병 대상자의 좌반구의 기능이 항진되고 측두엽의 기능에 이상이 있어 감각 정보처리가 지연됨. 이는 주의집중장애, 부적절한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고립감, 과민증을 초래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