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미술심리상담사 교재[1]

목차

1강 미술심리상담의 이해
2강 아동미술심리의 개념적 모형
3강 아동미술치료에서의 창조성
4강 미술활동의 치료적 요인
5강 색채와 아동심리
6강 아동발달과 환경
7강 아동기 인지발달과 미술
8강 아동기 자아개념 발달과 미술
9강 사회, 정서 발달과 미술
10강 아동기 이상발달
11강 아동미술의 발달 단계별 특성
12강 아동미술 표현의 특징
13강. 아동미술표현의 진단과 해석
14강 일반아동의 미술치료
15강. 장애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16강 진단적, 치료적 기법의 이해
17강 물고기 가족화 그림검사
18강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 그림검사
19강 그림이야기 검사 Draw-A-Story (DAS)
20강 별과 파도검사 Stat – Wave – Tess ( SWT )
21강 매체를 활용한 아동미술치료기법
22강 만다라를 통한 아동미술치료
23강 아동의 집단 미술치료
24강 부모 성장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25강 사례를 통한 미술치료 접근

본문내용

1강 미술심리상담의 이해

1. 미술치료의 이해

미술치료는 창작예술을 통한 심리치료라는 점에서 심리학과 심리치료 이론에 입각하여 시행되며 몸과 마음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미술활동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기법으로 미술치료의 회기가 반복 시행됨에 따라 시각적 이미지는 언어적 의식화 과정을 통해 지금까지 자기의 상실, 왜곡, 방어, 억제 등의 상황에서 개인 세계의 내면과 외부간의 조화를 이루어 일상생활에 도움을 주는 심리치료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미술치료는 학자마다 이론과 방법적 관점이 다르므로 어떻게 치료적 접근을 하느냐에 따라 한 가지 개념으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최근에는 학자들의 관점이나 표현과 예술의 창의적 매체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중 략>

14강 일반아동의 미술치료

1. 어린이 미술에 대한 이론적 관점

1) 인지발달 이론-아는 것을 그린다는 관점
2) 개성표현 이론-느낀 것을 그린다는 관점
3) 지각발달 이론-본 것을 그린다는 관점
4) 발생반복 이론- 전형적인 이미지를 그린다는 관점

2. 아동 미술에 대한 종합적 관점

– 아이들은 자신들의 전체를 표현한다.
– 아이들의 미술표현을 통해 그들이 보는 것만을 표현하거나 아는 것만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보는 활동과 아는 활동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 보는 활동은 아는 활동을 보완하며 아는 활동은 보는 활동을 어느 정도 안내한다. 어린이의 표현은 분명 어린이 전체의 표현이다.
– 아동은 자신들이 본 것과 느낀 것, 아는 것, 들은 것 등을 때에 따라, 상황에 따라 자연스럽게 자신들의 내면 전체를 표현하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