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문헌고찰
1) 크론병의 정의 및 특성
2) 크론병의 원인 및 증상
3) 크론병의 진단
4) 크론병의 치료
5) 크론병의 간호
2. 간호사정
1) 주관적, 객관적 자료 모두 찾아서 나열하기
2) 연관 자료 묶기/진단명 찾기 : 주, 객관적 자료 분류하여 연관 있는 것끼리 묶기
3) 진단명 우선순위 정하기(Maslow의 욕구 이론을 중심으로)
3. 간호과정(간호진단 2개 이상)
4.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1) 크론병의 정의 및 특성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관 전체에 걸쳐 어느 부위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이다. 궤양성 대장염과 달리 염증이 장의 모든 층을 침범하며, 병적인 변화가 분포하는 양상이 연속적이지 않고 드문드문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대장과 소장이 연결되는 부위인 회맹부에 질환이 발행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대장, 회장 말단부, 소장 등에서 흔히 발생한다. 병적인 변화가 회장과 맹장에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40~60%로 가장 흔하고, 소장에만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30%, 대장에만 발병하는 경우가 10~25%를 차지한다. 크론병은 국내에서는 드문 질환이었지만 최근 서양화된 생활습관 덕분에 발생 빈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15세~40세에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나이가 어리다고 방심은 할 수 없다.
2)크론병의 병태생리
*유전적 소인:10~15%가 가족력을 보이고 염색체 10과 염색체 7에 크론병과 관련된 유전자가 있음.
*면역반응:장의 면역반응에 이상이 생김.
-세균에 대한 면역반응 : 소화관내 균이나 지속적 감염에 대한 신체의 과도하고 공격적인 세포중개 반응
-상피세포와 면역반응 : 장을 둘러싸고 있는 상피세포는 세균감염에 대한 보호벽을 형성함
*병변은 전형적으로 장의 분리된 몇 개의 분절 내에서 생김.
-> 육안으로 볼 수 있으며 색깔이 정상적인 조직과는 뚜렷하게 구별됨.
*림프절이 확대되어 점막 밑 조직에 나타나고 peyer’s 반점들이 장 점막에서 발견됨
-> 육아종과 균열을 동반하는 작고 표재성인 궤양이 나타남.
*소장과 관련된 합병증은 흡수불량, 신석증, 담석증, 수신증 등이 있으며, 항문과 직장은 내부 누공과 농양이 발생할 수 있음
*항문치열은 가장 많이 생기는 병변으로 심한 설사와 직접 관련이 있고 항문주위 피부궤양을 유발함.
*내부 누공을 형성하는 것은 회장과 오름결장에 있는 크론병의 특징임.
*여성에게는 직장-질 누공이 생기기도 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