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실습 알코올 중독 케이스스터디 (진단까지)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Ⅲ. 간호과정 적용
Ⅳ. 느낀 점 및 새롭게 알게된 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알코올 중독 (alcoholism)
: 일반사회에서 허용되는 영양적 또는 사회적 용도 이상의 주류를 과량으로 계속해서 마심으로써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을 해치는 만성적 행동장애
– 신체적 증상: 불분명한 발음, 보행장애, 안구진탕, 홍조 띈 얼굴, 서맥, 동공축소, 혼수 등
– 심리 증상: 기분의 변화, 흥분, 수다스러움, 자제력 상실 및 직업적 기능장애

2. 원인 및 역동
① 유전적 원인
술 문제를 가진 어른, 형제 자매들에게 알코올 중독증 발생
– 실제 부모가 알코올 중독자인 경우, 건강한 집안에 입양되어 가더라도 알코올 중독에 걸릴 가능성 35% 이상
– 일란성 쌍둥이 중 한 명이 알코올 중독에 걸렸다면, 다른 형제도 알코올 중독이 될 확률이 이란성 쌍둥이 형제에 비해 훨씬 높음

② 생물학적 원인
– 적어도 한쪽 부모가 알코올 중독일 때 자녀에게 알코올 중독의 기대율은 20~30%
(일반 인구의 기대율은 단지 2~3%)
– 알코올 중독 환자의 일란성 쌍생아는 이란성 쌍생아보다 2배 이상 중독 가능성이 높음
– 음주에 의해 얼굴이 붉어지고 심계항진과 불쾌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 → 타고난 알코올 분해 효소의 부족으로 가족의 내력이 됨

③ 심리적인 원인
일반인에 비해 우울증이나, 열등감, 불안증상, 과민한 경향 등
– 구강기적 욕망: 알코올 중독은 불안한 느낌이 들 때, 무엇을 섭취함으로써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것과 관련됨
– 애착 형성: 어린 시절 부모의 애정이 부족하거나, 충분한 만족을 얻지 못한 경우, 부모에 대한 적대감등이 자기 파괴적 욕구를 일으켜 알코올 중독으로 발전
→ 개인의 정신적인 측면에서의 갈등 및 결핍이 알코올 중독의 형성에 관여하는 바가 적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며, 치료에 있어서도 이러한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요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