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데이터 및 처리
2. 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
3. 다음의 질문에 답하시오.
본문내용
실험 데이터 및 처리
━━━━━━━━━━━━━━━━━━━━━━━━━━━━━━━━━━━━━━━━
Part I: 표준곡선의 작성
1. 표준용액의 밀도
(용액의 밀도는 소숫점 이하 3 자리까지 계산한다.)
2. 표준용액의 농도(%)를 x-축, 밀도(g mL-1)를 y-축으로 하여 표준용액의 밀도 대 농도의 그래프를 그려라.
3. 표준용액의 밀도 대 농도 데이터들을 지나는 직선을 그리고, 이 직선을 나타내는 직선식 () 을 구하라. (앞의 그래프에 직선을 추가하라.) 이 직선은 설탕물 용액의 밀도와 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준곡선(standard curve)이다.
Part II: 음료수의 당도 결정
1. 음료수의 밀도
(용액의 밀도는 소숫점 이하 3 자리까지 계산한다.)
2. 음료수의 밀도와 Part I에서 얻은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각 음료수의 당도(%)를 결정하라.
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
다음의 질문에 답하시오.
━━━━━━━━━━━━━━━━━━━━━━━━━━━━━━━━━━━━━━━━
1. 삼각 플라스크에 들은 용액의 질량을 측정할 때 마개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 탄산음료의 밀도를 측정할 때 자석교반기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 기체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는다면 밀도 측정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겠는가?
3. 10% (w/v)의 설탕물 용액이 있다. 이 용액의 몰농도(molarity)는 얼마인가?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