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_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두 가지 방향을 설명하고 학습자 본인이 생각하는 한국문화교육의 방향을 논해 보세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두 가지 방향
1) 의사소통 향상
2) 문화능력을 높이고 개인적 성장을 도모

2. 내가 생각하는 한국 문화교육 방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문화교육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여러 정의가 있을 수 있겠으나 “문화로 정의된 것 또는 문화의 특성이나 속성을 내포한 것을 교육의 내용으로 삼아, 지적, 정서적, 심동적인 영역에서 형식 비형식적으로 전수하거나 가르치는 일체의 행위”라고 포괄적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문화는 인간을 인간으로서 의미 있게 하고, 존재하게 하는 존재성, 즉 인간을 문화적 존재로 형성하도록 조건 짓는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중 략>

2) 문화능력을 높이고 개인적 성장을 도모
문화적 역량이란 문화를 체험하고, 향수하며, 평가하고 재창출할 수 있는 능력으로21세기를 살아갈 글로벌 시민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 가운데 하나이다. 따라서 문화에 대한 안목을 가질 수 있고, 문화 다양성을 존중할 수 있으며,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내용을 선별하여야 한다(조현용, 2021) 예를 들어 전주지역에서 식문화를 내용으로 전주비빔밥을 교육의 내용으로 삼았다면, 문화적 역량을 수반한 교육내용은 단순히 전주비빔밥을 완성하는 것만이 아니라, 전주비빔밥의 유래, 영양적 요소, 타 지역의 비빔밥과의 차이점, 세계의 요리가운데 전주비빔밥과 유사한 것에 대한 지식, 세계인의 기호에 맞추어 전주비빔밥을 개량하는 방안 등을 함께 교육의 내용으로 삼아야 한다(조현용, 2021)…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