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의사소통식 교수법
(2) 의사소통식 교수법에 대한 견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외국어로서 한국어문법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문법 능력은 의사소통 능력의 그 일부로 Canale and Swain가 정의한 의사소통 능력에는 담화적 능력, 전략적 능력, 사회언어학적 능력과 더불어 문법적 능력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는 어휘, 발음 규칙, 철자법, 단어 형성, 문장 구조 등의 언어학적 기호를 정확하게 사용하여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생성해 내는 문법적 능력이 부재하다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다. 또한, 한국어 문법교육은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데, 즉 방대한 언어 세계를 학습하는데 있어…
<중 략>
(2) 의사소통식 교수법에 대한 견해
필자는 의사소통식 교수법 중에서 문법교육을 전면적으로 거부하는 적극적 의사소통식 교수법이 아닌 문법교육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소극적 의사소통식 교수법을 지지한다. 즉,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교수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문법교육이 요구되지만,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교수-학습에 가장 궁극적 목적은 원활한 의사소통에 있다는 점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전개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부분적 한국어 문법교육만을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학술적 학습을 전개하는 학습자에게는 한국어문법에 대한 강도 높은 체계적 교수-학습이 요구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