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사범의 역할과 발전방향 (6)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태권도의 역사적 고찰
1) 태권도의 기원 및 정의
2) 태권도의 현재
2. 태권도사범에 대한 인식
1) 자격조건
2) 사범의 역할
3. 태권도사범의 직무소진
1) 직무환경과 소진
2)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이 논문은 태권도사범이 지도자로서 올바른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사범의 직무에 대해 살펴보고 직무소진을 유발하는 요인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태권도사범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한 개인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사회적으로 부여받은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는 많은 요인이 작용하게 된다. 특히 역할에 대한 뚜렷한 이해는 역할수행능력을 질적으로 높이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이것이 최근 다양한 역할에 대한 직무분석이 시행되고 있는 이유이다.
직무분석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지식과 능력, 기술, 경험 그리고 책임 등이 무엇인지를 합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알아내는 것이다(유태용, 2000). 직무소진은 직업의식과 직결된다. 즉, 직무소진이 가중될수록 직업의식이 감소되고 직업에 대한 의욕상실과 판단불능 등과 같은 현상을 유발한다(소영호, 조성림, 2010). 태권도사범에게 있어서 직업의식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개념이다. 전문기술과 지식, 지도능력 그리고 직업에 대한 긍지를 갖추어야 되기 때문이다(김윤경, 2003). 하지만 현재 국내 태권도사범들은 직업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며 고충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도한 업무와 낮은 급여, 미래에 대한 불안감들이 직업의식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김명상, 2010).

<중 략>

II. 본론

1. 태권도의 역사적 고찰
1) 태권도의 기원 및 정의
태권도는 깨달음과 내적 평안을 주는 무도이며, 본질인 술(術)을 기본으로 하여 예(藝)와 도(道)의 단계로 확장된다(안용규, 2006). 일차원적으로 태권도는 격투 기술이다. 그것을 배우는 이유는 불의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데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그리고 그 과정은 자아를 확대하고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나아가게 한다(국기원, 2022).
남녀노소 누구나 장소를 불문하고 자신의 신체 즉, 발과 손을 사용하여 공격과 방어의 기술을 연마하는 무도이자 스포츠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